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나만의 인스타그램 필터, 쉽고 빠르게 만드는 법

by 127safymsfkasf 2025. 5. 24.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

 

나만의 인스타그램 필터, 쉽고 빠르게 만드는 법

 


목차

  1. 나만의 인스타 필터, 왜 만들어야 할까요?
  2. 인스타 필터 제작, 어떤 도구가 필요할까요?
  3. 스파크 AR 스튜디오 설치 및 기본 인터페이스 이해하기
  4. 첫 번째 필터 만들기: 간단한 색감 보정 필터
    • 색감 보정 효과 적용하기
    • 텍스처 및 오버레이 추가하기
  5. 두 번째 필터 만들기: 얼굴 인식 기반 필터 (얼굴 프레임)
    • 얼굴 추적 기능 활용하기
    • PNG 이미지 불러와 적용하기
  6. 필터 테스트 및 인스타그램 업로드
  7. 필터 디자인 팁과 유의사항

나만의 인스타 필터, 왜 만들어야 할까요?

인스타그램은 이제 단순한 사진 공유 플랫폼을 넘어,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수많은 인스타그램 사용자들 사이에서 나만의 개성과 브랜드를 드러내고 싶다면, 인스타그램 필터 제작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직접 만든 필터를 통해 특정 분위기나 스타일을 연출하고, 사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의 홍보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필터를 만들 수도 있고, 단순히 친구들과 재미있는 사진을 공유하기 위한 필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자신만의 필터는 콘텐츠의 독창성을 높이고, 다른 사용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팔로워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터 사용자들이 해당 필터를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면서 바이럴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인스타그램 필터 만들기는 어렵지 않으며, 몇 가지 기본적인 도구와 개념만 이해한다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스타그램 필터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하여 여러분도 멋진 필터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인스타 필터 제작, 어떤 도구가 필요할까요?

인스타그램 필터 제작의 핵심 도구는 바로 메타 스파크 AR 스튜디오(Meta Spark AR Studio)입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모회사인 메타에서 제공하는 무료 소프트웨어로, 증강 현실(AR) 효과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코딩 지식이 없어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 외에도 필터에 사용할 이미지나 텍스처를 제작하기 위한 그래픽 디자인 도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도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또는 캔바(Canva)와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필터에 들어갈 로고, 아이콘, 배경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얼굴 프레임이나 특정 오브젝트를 필터에 넣고 싶다면, 배경이 투명한 PNG 형식의 이미지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필터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스케치하는 데 필요한 아이디어 구상 도구 (예: 종이, 펜, 디지털 스케치북 등)가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파크 AR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필터 제작 방법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 설치 및 기본 인터페이스 이해하기

스파크 AR 스튜디오를 사용하려면 먼저 공식 웹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는 윈도우와 맥 운영체제를 모두 지원하며, 설치 과정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설치와 유사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스파크 AR 스튜디오를 실행합니다. 처음 프로그램을 열면 다양한 템플릿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템플릿들은 특정 효과를 미리 구현해 놓은 것으로, 초보자가 필터 제작에 익숙해지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처음부터 직접 만들어보는 경험을 통해 더 깊이 이해할 것이므로, "Blank Project"를 선택하여 빈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의 인터페이스는 크게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나뉩니다.

  • 뷰포트(Viewport): 작업 중인 필터가 실제 인스타그램에서 어떻게 보일지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가상의 사람 얼굴이나 환경을 선택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필터를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 씬 패널(Scene Panel): 필터에 사용되는 모든 오브젝트(개체)들을 계층 구조로 보여주는 패널입니다. 카메라, 조명, 얼굴 추적기, 3D 오브젝트 등이 이 패널에 표시됩니다.
  • 에셋 패널(Assets Panel): 필터에 사용되는 이미지, 사운드, 3D 모델 등 모든 미디어 파일들을 관리하는 패널입니다.
  • 인스펙터 패널(Inspector Panel): 씬 패널에서 선택한 오브젝트나 에셋 패널에서 선택한 미디어 파일의 속성을 조정하는 패널입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회전, 색상, 투명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패치 에디터(Patch Editor): 노드 기반의 비주얼 프로그래밍 환경으로, 복잡한 상호작용이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할 때 사용합니다. 코딩 없이도 논리적인 흐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이 스파크 AR 스튜디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중요합니다.


첫 번째 필터 만들기: 간단한 색감 보정 필터

가장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필터는 바로 색감 보정 필터입니다. 별도의 이미지 에셋 없이도 스파크 AR 스튜디오 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사진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색감 보정 효과 적용하기

  1. 새로운 Material 생성: 씬 패널에서 'camera'를 선택하고, 인스펙터 패널에서 '+ Add Component'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Material'을 찾아 추가합니다. Material은 오브젝트의 시각적 속성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2. Material 속성 조정: 에셋 패널에 새로운 Material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Material을 선택하고 인스펙터 패널에서 다양한 속성을 조정합니다.
    • Shader Type: 기본적으로 'Standard'로 설정되어 있지만, 'Flat'으로 변경하면 색감 보정에 더 적합한 단순한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 Color: 색상 피커를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 오버레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특정 색상을 선택하고 투명도(Alpha)를 조절하여 사진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따뜻한 느낌을 주려면 주황색 계열을, 차가운 느낌을 주려면 파란색 계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Blend Mode: 'Normal' 외에도 'Multiply', 'Screen', 'Overlay' 등 다양한 블렌드 모드를 실험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verlay'는 기존 이미지에 색상을 덧입혀 더욱 생동감 있는 색감을 만들어줍니다.
    • Opacity: 투명도를 조절하여 색감 보정 효과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3. 룩업 테이블(LUT) 사용: 더 전문적인 색감 보정을 원한다면 룩업 테이블(LU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UT는 색상 값을 미리 정의해 놓은 파일로, 사진 편집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필터와 유사합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는 자체적으로 LUT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외부 프로그램(포토샵, 라이트룸 등)에서 LUT 파일을 만들거나, 온라인에서 무료 LUT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에셋 패널에 추가한 뒤 Material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LUT를 적용하려면 Material의 'Shader Type''Retouching'으로 설정하고, 'Texture' 항목에 LUT 파일을 연결해야 합니다.

텍스처 및 오버레이 추가하기

단순한 색감 보정을 넘어, 필터에 텍스처나 오버레이를 추가하여 더욱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빈티지한 느낌을 주는 필름 그레인 효과, 빛 번짐 효과, 또는 특정 패턴을 사진 위에 덧입힐 수 있습니다.

  1. 텍스처 이미지 준비: 포토샵이나 다른 그래픽 도구를 사용하여 필터에 사용할 텍스처 이미지(예: 노이즈, 빛 번짐, 패턴 등)를 만듭니다. 이때 배경이 투명한 PNG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새로운 Material 생성 및 적용: 씬 패널에서 'Camera'를 선택하고, '+ Add Component'를 통해 새로운 Material을 추가합니다. 이 Material에 준비된 텍스처 이미지를 에셋 패널에 불러온 후 'Texture' 항목에 연결합니다.
  3. 블렌드 모드 및 투명도 조절: 텍스처 Material의 'Shader Type'을 'Flat'으로 설정하고, 'Blend Mode'를 'Screen', 'Overlay', 'Soft Light' 등으로 변경하여 텍스처가 사진에 자연스럽게 합성되도록 조절합니다. 'Opacity'를 조절하여 텍스처의 강도를 약하게 하면 더욱 자연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여러 Material 중첩: 스파크 AR 스튜디오는 여러 Material을 중첩하여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색감 보정 Material 위에 텍스처 Material을 얹어 더욱 풍부한 필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Material의 순서를 변경하여 각 효과가 적용되는 방식을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필터 만들기: 얼굴 인식 기반 필터 (얼굴 프레임)

인스타그램 필터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얼굴 인식 기반 필터는 사용자의 얼굴에 특정 효과를 적용하여 재미를 더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한 얼굴 프레임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얼굴 추적 기능 활용하기

스파크 AR 스튜디오는 강력한 얼굴 추적(Face Tracker)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위에 텍스처나 3D 모델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1. Face Tracker 추가: 씬 패널에서 '+ Add Object'를 클릭하고 'Face Tracker'를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Face Tracker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고 그 위치와 회전을 추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2. Plane 오브젝트 추가: Face Tracker 하위에 '+ Add Object'를 클릭하고 'Plane'을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Plane은 2D 이미지나 텍스처를 표시할 수 있는 평면 오브젝트입니다. 이 Plane 위에 얼굴 프레임 이미지를 띄울 것입니다.

PNG 이미지 불러와 적용하기

얼굴 프레임은 보통 배경이 투명한 PNG 이미지로 제작됩니다.

  1. 얼굴 프레임 이미지 준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또는 캔바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디자인의 얼굴 프레임 이미지를 제작합니다. 이때 배경을 투명하게 설정하고 PNG 파일로 저장해야 합니다.
  2. 이미지 에셋 불러오기: 에셋 패널에서 '+ Add Asset'을 클릭하고 'Import from Computer'를 선택하여 준비한 얼굴 프레임 PNG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3. 새로운 Material 생성 및 적용: 에셋 패널에서 새로 불러온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Create New Material'을 선택합니다. 이 Material을 Plane 오브젝트에 적용합니다. 씬 패널에서 Plane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인스펙터 패널에서 'Material' 항목의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새로 생성한 Material을 선택합니다.
  4. Material 속성 조정: Plane에 적용된 Material을 에셋 패널에서 선택하고 인스펙터 패널에서 다음과 같은 속성을 조정합니다.
    • Shader Type: 'Flat'으로 설정합니다.
    • Alpha Test: 'Enabled'로 설정하여 이미지의 투명도를 제대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 Texture: 자동으로 불러온 PNG 이미지가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
  5. Plane 위치, 크기, 회전 조절: 뷰포트에서 Plane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인스펙터 패널에서 'Position', 'Scale', 'Rotation' 값을 조절하여 얼굴 프레임이 사용자의 얼굴에 정확히 맞도록 조정합니다. 뷰포트 상단의 시뮬레이터에서 가상의 얼굴을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뷰포트에서 직접 Plane을 드래그하여 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6. 추가 효과 (옵션): 얼굴 프레임 외에도 눈 깜빡임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효과, 입을 벌리면 나타나는 효과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패치 에디터를 활용하여 구현하며,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기본 프레임이 익숙해진 후에 도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터 테스트 및 인스타그램 업로드

필터 제작이 완료되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필터 테스트

  1. 스파크 AR 스튜디오에서 테스트: 뷰포트에서 다양한 가상 환경(사람 얼굴, 배경 등)을 선택하여 필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2. 스파크 AR 플레이어 앱으로 테스트: 스마트폰에 스파크 AR 플레이어(Spark AR Player) 앱을 설치합니다. 스파크 AR 스튜디오에서 'Test on Device' 버튼을 클릭하고 'Send to Spark AR Player App'을 선택하면, 제작 중인 필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실제 얼굴에 적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장 정확한 테스트 방법입니다.
  3. 인스타그램으로 테스트 (Link 공유): 스파크 AR 스튜디오에서 'Test on Device' 버튼을 클릭하고 'Send to Instagram' 또는 'Copy Effect Link'를 선택하여 필터 테스트 링크를 생성합니다. 이 링크를 스마트폰으로 열면 인스타그램 앱에서 필터를 직접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이 링크는 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업로드

필터 테스트를 통해 모든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면, 이제 인스타그램에 필터를 업로드할 차례입니다.

  1. Export 파일 생성: 스파크 AR 스튜디오에서 'File' > 'Export'를 선택하고 'Export File'을 클릭하여 필터 파일을 '.arexport'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이때 파일 크기 제한이 있으므로, 너무 큰 이미지나 3D 모델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스파크 AR 허브(Spark AR Hub) 접속: 웹 브라우저를 통해 스파크 AR 허브(Spark AR Hub)에 접속합니다. 이곳은 메타에서 제공하는 필터 관리 및 업로드 플랫폼입니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3. 새로운 효과 업로드: 스파크 AR 허브에서 'Upload Effect' 버튼을 클릭하고, 미리 저장해둔 '.arexport'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4. 필터 정보 입력: 업로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필터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Effect Name: 필터의 이름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이름)
    • Category: 필터의 카테고리 (예: Selfies, World, Fun 등)
    • Demo Video: 필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짧은 비디오 (필수)
    • Icon: 필터의 아이콘 이미지 (필수)
    • Keywords: 필터를 검색할 때 사용될 키워드
    • Visibility: 필터 공개 여부 (Public 또는 Private)
    • Publishing Platform: 인스타그램 또는 페이스북 (모두 선택 가능)
    • Owner: 필터를 만든 계정 (개인 계정 또는 브랜드 페이지)
  5. 심사 제출: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Submit for Review' 버튼을 클릭하여 메타의 심사팀에 필터 업로드를 요청합니다. 심사에는 며칠이 소요될 수 있으며, 심사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반려될 수 있습니다. 심사가 통과되면 필터가 인스타그램에 공개됩니다.

필터 디자인 팁과 유의사항

성공적인 인스타그램 필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적인 구현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요소와 몇 가지 유의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필터 디자인 팁

  • 명확한 콘셉트: 필터의 목적과 콘셉트를 명확하게 설정하세요. 예를 들어, '따뜻한 감성 필터', '재미있는 동물 필터', '피부 보정 필터' 등 특정 테마를 정하면 디자인 방향을 잡기 쉽습니다.
  • 간결함: 너무 많은 효과를 한 필터에 넣기보다는, 하나의 강력한 효과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잡한 필터는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 고품질 에셋: 필터에 사용되는 이미지, 텍스처, 3D 모델은 고품질이어야 합니다. 저해상도 이미지는 필터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환경 고려: 필터가 실내, 실외, 밝은 곳, 어두운 곳 등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테스트하고 조정하세요.
  • 사용자 상호작용: 필터에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면 더욱 재미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면 터치 시 효과 변경, 고개 흔들 시 애니메이션 재생 등 패치 에디터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최신 트렌드 반영: 인스타그램의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여 필터 디자인에 반영하면 더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파일 크기 제한: 스파크 AR 필터는 파일 크기 제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MB). 따라서 이미지나 3D 모델의 용량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이미지 압축, 3D 모델 폴리곤 수 줄이기 등의 작업을 통해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저작권: 필터에 사용되는 모든 이미지, 사운드, 3D 모델은 저작권에 위배되지 않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무료 이미지 사이트나 직접 제작한 에셋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심사 기준 준수: 메타의 필터 심사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부적절한 콘텐츠,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내용,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필터는 심사에서 반려됩니다. 최신 심사 기준은 스파크 AR 허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최적화: 필터가 스마트폰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너무 복잡한 효과나 고용량 에셋은 스마트폰의 성능을 저하시켜 필터가 느려지거나 앱이 강제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터를 업로드한 후에도 사용자 피드백을 수렴하여 개선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기능이나 이벤트를 반영하여 필터의 인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보기